비정상적인 각막변형으로 부정난시가 발생하는 질환, 원추각막 (Keratoconus)
원추각막교정렌즈
정상 각막에서 충혈이나 각막세포침윤과 같은 염증성 원인이 아닌 비염증성 원인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어
각막이 비정상적으로 얇아지면서 돌출되어 그로 인해 부정난시가 발생하는 진행성 질환입니다.
두께가 감소한 부위의 각막은 돌출되며 마치 종 모양과 유사하여 원추각막(Keratoconus) 이라고 하며,
원추의 정점은 시축의 바로 아래에 주로 위치합니다.
이러한 원추각막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로 개인맞춤형 특수 원추각막교정렌즈로 치료를 진행합니다.
· 유전성 여부는 명확지 않음
· 유전빈도 6~8% 정도
· 아토피 질환(연관성 가장 큼, 원추각막환자의 35%가 차지)
· 불완전공생성증(osteogenesis imperfect), 엔로스 단로스증후군(Ehlers-Danlos Syndrome) 등과 같은 비염증성 아교질 질환
· 선천성 고관절 이형성증, 헐거운 눈꺼풀 증후군(floppy eyelid syndrom), 눈치아형성장애, 리이거 증후군, 소진피형성저하증(focal dermal hypoplasia),
손발톱무릎뼈 증후군, 아페르트 증후군, 머리얼굴뼈발생이상(craniofacial dysostosis), 크루존 증후군 등
· 터너 증후군 및 마르팡 증후군, 다운증후군 혹은 다른 정신지체 질환
· 눈을 비비는 행동은 각막에 작은 충격을 가하게 됨
· 지속적인 충격으로 각막구조에 손상 및 변형을 줄 수 있음
· 오랜 기간 착용한 렌즈로 인해 각막변형 발생
· 변형된 각막이 얇아지는 경우 더 큰 각막이상증의 질환으로 발전가능
· 안경으로 시력개선이 안될 경우 치료용 교정렌즈로 치료진행
· 치료용 교정렌즈로 시력개선이 안될 경우 수술로 치료진행
· 비정상적인 각막을 정상적 각막으로 교체 해주는 각막이식 수술로 진행
· 이식수술 후 각막난시 발생의 경우는 콘택트렌즈 착용이 필수
원추각막 치료용 콘택트렌즈 착용 시 주의사항!!
1. 콘택트렌즈가 반드시 필요하며, 힘들고 어렵더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2. 렌즈를 성공적으로 잘 착용하더라도 약 20%의 환자에서는 각막이식 수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중 별다른 이유 없이 각막 반흔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예후에 대한 정확한 추측은 불가능하며 진행속도 및 정도는 개인차이가 심합니다.
5. 3~4개월 단위의 정기적인 안과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